1. 논리(true/false) 연산자
표현 | 의미 | 해석 |
A && B | and | A 그리고 B |
A || B | or | A 또는 B |
! | not | ~이 아닌 |
제어문(if, while)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.
2. 비교 연산자
표현 | 해석 |
> | 크다. |
< | 작다. |
>= | 크거나 같다. |
<= | 작거나 같다. |
== | 같다. |
int numberAnd = 5;
System.out.println("AND 연산자");
System.out.println( numberAnd > 0);
System.out.println( numberAnd > 0 && numberAnd < 10);
System.out.println( numberAnd > 0 && numberAnd > 10 );
System.out.println();
int numberOr = 5;
System.out.println("or 연산자");
System.out.println(numberOr > -1 || numberOr < 7);
System.out.println(numberOr < -1 || numberOr < 7);
System.out.println(numberOr < -1 || numberOr > 7);
System.out.println();
int numberNot = 5;
System.out.println("not 연산자");
System.out.println( numberNot == 1);
System.out.println( numberNot != 1);
System.out.println();
System.out.println( numberNot >= 5 || numberNot <= 10 );
3. 삼항 연산자
값 = (조건) ? 값1 : 값2
조건에 따라서 값을 대입함.
조건이 맞으면(True) 값에 값1을 대입하고, 조건이 틀리면(False) 값에 값2를 대입한다.
int number, result;
number = 3;
result = ( number > 0 ) ? 10 : 20;
System.out.println("result = " + result);
char c;
c = (number > 1) ? 'Y' : 'N';
System.out.println("c = " + c);
String str1;
str1 = (number > 0) ? "양수입니다" : "음수입니다";
System.out.println("str1 = " + str1);
String str2;
str2 = (number < 0) ? "음수입니다" : "양수입니다";
System.out.println("str2 = " + str2);
'JAVA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풀스택 개발자 부트캠프 002일차 ⑦ 문자열 (3) | 2024.12.26 |
---|---|
[JAVA] 풀스택 개발자 부트캠프 002일차 ⑥ 자료형 변환 (0) | 2024.12.26 |
[JAVA] 풀스택 개발자 부트캠프 002일차 ④ 자료형 수치 변환 (1) | 2024.12.26 |
[JAVA] 풀스택 개발자 부트캠프 002일차 ③ 사칙연산 (0) | 2024.12.25 |
[JAVA] 풀스택 개발자 부트캠프 002일차 ② 입력구문(추후수정) (2) | 2024.12.25 |